전체 글8 MySQL EXPLAIN (실행 계획 분석) EXPLAIN 이란? 쿼리 실행 계획을 확인 하기 위해 사용한다. EXPLAIN 키워드 뒤에 확인하고 싶은 쿼리 문장을 적으면 된다. EXPLAIN을 실행하면 쿼리 문장의 특성에 따라 1줄 이상의 결과로 표시되고 쿼리 문장에서 사용된 테이블의 개수만큼 출력된다. 그리고 실행 순서는 위에서 아래로 순서대로 표시 된다. 필요에 따라 실행 계획을 산출하기 위해 쿼리의 일부분을 직접 실행할 때도 있어서 실행 계획 조회도 느려질 수 있다. # EXPLAIN EXPLAIN SELECT * FROM `user` AS u id 칼럼 - 단위 SELECT 쿼리별로 부여되는 식별자 값이다. select_type 칼럼 - 각 단위 SELECT 쿼리가 어떤 타입의 쿼리인지 표시되는 칼럼이다. 1. SIMPLE - UNION .. 2021. 4. 10. MySQL 데이터 정의 언어 DDL (Data Definition Language) DDL 이란?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및 정의를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쿼리를 DDL (데이터 정의 언어) 라고 한다. 스토어드 프로시저나 함수, 그리고 DB나 테이블 등을 생성하거나 변경하는 대부분의 명령이 DDL에 해당한다. CREATE, ALTER, DROP, TRUNCATE 등이 있다. # 데이터 베이스 정의 1. 데이터 베이스 생성 -- #1 CREATE DATABASE [IF NOT EXISTS] ; -- #2 CREATE DATABASE IF NOT EXISTS employees; -- #2 CREATE DATABASE IF NOT EXISTS employees CHARACTER SET utf8; -- #3 CREATE DATABASE IF NOT EXISTS employees CHARACTER S.. 2021. 3. 10. 파이썬 클로저 (closure) 0. 클로저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퍼스트 클래스 함수 (First class function) 를 지원하는 언어의 네임 바인딩 기술이다. 클로저는 어떤 함수를 함수 자신이 가지고 있는 환경과 함께 저장한 레코드이다 또한 함수가 가진 프리변수(free variable)를 클로저가 만들어지는 당시의 값과 래퍼런스에 맵핑하여 주는 역활을 한다. 클로저는 일반 함수와는 다르게 자신의 영역 밖에서 호출된 함수의 변수값과 레퍼런스를 복사하고 저장한 뒤, 이 캡쳐한 값들에 엑세스 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자신을 둘러싼 스코프(네임스페이스)의 상태값을 기억하는 함수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1. 클로저 사용의 장점 관리와 책임을 명확히 할 수 있고 각 변수가 섞여 불필요한 충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환경(contex.. 2021. 3. 6. 파이썬 일급 객체 (First-Class) # 일급 객체 다른 객체들에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객체를 일급 객체라고 한다. 일급 객체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중에서 파이썬을 포함한 몇몇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념이다. 파이썬의 모든 것은 객체인데 그렇기 때문에 함수 또한 객체이며 일급 객체이고 일급 함수라고 부른다. 일급 객체란 다음의 특징을 모두 충족하는 객체를 말한다 변수에 할당 할 수 있다. 다른 함수를 인자로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함수의 결과로서 리턴될 수 있다. 1. 변수에 할당 def print_hello(name): print("hello~ {}".format(name)) # 변수에 할당 var_func = print_hello print(var_func, print_hello) # >.. 2021. 3. 5. 이전 1 2 다음